고대 올림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올림픽은 고대 그리스에서 열린 스포츠 행사로, 신화와 종교적 의례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기원전 8세기부터 폴리스 간의 평화로운 경쟁의 장으로 기능했으며, 제우스 신을 기리는 종교 축제의 성격을 띠었다. 육상, 격투, 전차 경주 등 다양한 종목이 있었으며, 승리자에게는 월계관이 수여되었다. 로마 제국 시기에도 이어졌으나, 뇌물과 부패로 인해 쇠퇴했고, 393년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폐지되었다. 고대 올림픽은 예술, 문화, 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올림픽의 모델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의 역사 - 자파스 올림픽
자파스 올림픽은 에방겔리스 자파스의 후원으로 1859년부터 1889년까지 네 차례 개최된 근대 올림픽 부활 시도로, 고대 올림픽 종목 부활과 그리스 민족 단결을 목표로 근대 올림픽 창설에 기여했으며, 재건된 경기장과 자피온은 이후 올림픽 경기장으로 활용되었다. - 고대 올림픽 - 팡크라티온
팡크라티온은 고대 그리스의 종합 격투 스포츠로, 레슬링과 복싱 기술을 결합하여 기원전 7세기에 발전하여 고대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현대에는 네오 팡크라티온으로 부활하여 종합격투기의 한 형태로 인정받고 있다. - 고대 올림픽 - 올림피아드
올림피아드는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유래한 기년법으로, 현재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올림픽 대회 사이의 4년 기간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며, 동계 올림픽과는 연동되지 않고 스포츠 외 분야 국제 대회에서도 사용된다.
고대 올림픽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그리스어) | τὰ Ὀλύμπια (타 올림피아) |
유형 | 스포츠 행사 |
개최지 | 올림피아 |
기원 | 종교적 제전 |
역사 | |
시작 시기 (추정) | 기원전 776년 |
종료 시기 | 서기 393년 |
개최 주기 | 4년 |
참가 자격 | 자유 시민권이 있는 그리스인 남성 |
참가 불가 | 여성 노예 외국인 |
폐지 이유 | 테오도시우스 1세의 이교도 탄압 |
경기 종목 | |
육상 | 스타디온 디아울로스 돌리코스 호플리토드로모스 |
격투기 | 레슬링 복싱 판크라티온 |
기타 | 5종 경기 전차 경주 승마 |
여성 경기 | 헤라이아 경기 |
중요성 | |
정치적 중요성 | 도시 국가 간의 동맹 및 외교 전쟁 중단 |
종교적 중요성 | 제우스 신에게 바치는 제전 |
문화적 중요성 | 그리스인의 정체성 강화 예술과 문화 발전 |
유산 | |
현대 올림픽 | 근대 올림픽의 기원 |
2. 유래와 신화
고대 그리스인들은 올림픽 경기의 기원을 신화와 연결시켜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9] 고대 경기 기간 동안 그 기원은 신들에게 기인했으며, 실제로 누가 경기를 시작했는지에 대한 경쟁적인 전설이 지속되었다.[10] 그리스인들은 경기가 종교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었고, 운동 경기가 신들을 숭배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으며, 고대 경기의 부활은 평화, 화합, 그리고 그리스 생활의 기원으로의 회귀를 가져오기 위한 것이었다.[11]
이러한 기원 전승은 거의 풀리지 않지만, 사람들이 경기의 배경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대기와 패턴이 나타났다.[12]
- 다크틸 헤라클레스 설: 그리스 역사가 파우사니아스는 다크틸 헤라클레스(제우스의 아들이자 로마 판테온에 합류한 헤라클레스와 혼동하지 말 것)와 그의 네 형제 파에오나이우스, 에피메데스, 이아시우스, 이다스가 갓 태어난 제우스를 즐겁게 하기 위해 올림피아에서 경주했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그는 승자에게 올리브 화관을 수여했는데, 이는 평화의 상징이 되었고, 경기를 매 5년마다 치르게 했다.[13][14] 다른 올림포스 신들(영구적으로 올림포스 산에 살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림) 역시 레슬링, 점프, 달리기 경기에 참여하곤 했다.[15]
- 펠롭스 설: 올림피아 영웅인 펠롭스의 이야기이다. 피사의 왕 오이노마오스에게는 히포다미아라는 딸이 있었는데, 신탁에 따르면 왕은 그녀의 남편에게 죽임을 당할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구혼자들에게 딸과 함께 전차를 몰고 도망가게 하고, 자신은 다른 전차를 타고 따라가 그들을 따라잡으면 창으로 찌르도록 했다. 당시 왕의 전차 말들은 신 포세이돈의 선물이었으므로 초자연적으로 빨랐다. 펠롭스는 미르틸루스를 설득하여 왕의 전차의 청동 차축 핀을 왁스 핀으로 바꾸게 했다. 경주 중에 왁스가 녹아 왕은 전차에서 떨어져 죽었다. 펠롭스는 신들에게 감사하고 오이노마오스 왕을 기리는 장례 경기로 전차 경주를 조직하여 자신의 죽음에서 정화되려 했다. 이 장례 경주에서 올림픽 경기의 시작이 영감을 받았다. 펠롭스는 위대한 왕이자 지역 영웅이 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부여했다.
- 헤라클레스 설: 핀다르에 기인한 신화는 올림피아 축제에 제우스의 아들인 헤라클레스가 참여했다고 말한다. 핀다르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그의 과업을 완수한 후 그의 아버지 제우스를 기리기 위해 운동 축제를 설립했다.
- 기타 설: 호메로스에 따르면, 트로이 전쟁에서 죽은 파트로클로스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아킬레우스가 경기 대회를 열었다[102]는 설이 있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약속을 어긴 아우게이아스 왕을 공격한 헤라클레스가 승리 후 제우스 신전을 짓고 여기서 4년에 한 번 경기 대회를 열었다고 한다.
어쨌든, 신화에 남아있는 경기 대회는 어떤 사정으로 인해 단절되었고, 유구한 역사 이후의 제전과는 연속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전승 중 일부는 엘리스 시민 등이 올림픽의 유래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나중에 창작한 것도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3. 역사
지중해 주변 지역에는 운동 경기의 오랜 전통이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과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왕과 귀족의 무덤에 운동 경기를 묘사했지만, 정기적인 대회를 개최하지는 않았고, 왕과 상급 귀족의 궁궐 정원에서 경기가 열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노아 문명은 프레스코화에 소 달리기, 텀블링, 달리기, 레슬링, 권투를 그려 놓았으며, 체조 경기를 높이 평가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케네 문명은 고대 미노아 문명의 경기를 채택하여 종교적 의식에서 전차를 이용하여 경쟁했다.[104][105] 호메로스의 "영웅담"에 따르면, 죽은 자를 기리기 위해 운동 경기에 참가했으며, "일리아스"에서는 전차 경주, 권투, 레슬링, 단거리 달리기 외에도 펜싱, 양궁, 창 던지기를 묘사했다. "오디세이아"는 여기에 멀리뛰기와 원반 던지기를 추가했다.[106]
기록에 남아 있는 최초의 올림피아 제전은 기원전 776년에 열렸으며, 이 대회를 제1회로 간주한다.[107] 승자는 엘리스의 코로이보스였다. 경기 대회가 열린 계절은 보리 수확이 끝나 농민들이 다소 한가해지는 율리우스력의 8월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엘리스와 스파르타 두 국가만 참가했던 올림피아 대제전은 4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고, 점차 참가국이 늘어나 마침내 전 그리스 제국이 참가하게 되었다. 이 대회는 그리스 공통으로 사용되는 달력의 단위가 되기도 했다. 올림피아드라는 단위로, 이는 어떤 올림피아 대제전이 개최된 후 다음 대제전이 개최될 때까지의 4년을 나타낸다.[108]
마케도니아 왕국은 도시 국가가 아니었고 변경에 살았기 때문에 고대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았으나, 알렉산드로스 1세가 자신의 선조가 헤라클레스라고 주장하여 그리스인으로 인정받아 기원전 6~5세기 무렵부터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110] 로마인들도 신화를 통해 자신들의 조상이 그리스인임을 증명하고, 기원전 6세기 무렵부터 그리스 도시 국가에 섞여 참가를 허락받았다.[111]
올림피아 대제전은 개최 1개월 전에 개최를 알리는 사자가 그리스 전체를 돌았으며, 대회 개최 중 1개월 동안 휴전이 선포되었다. 이후 참가 도시 국가가 증가하면서 휴전 기간은 올림픽 개최 기간을 포함하여 전후 3개월로 늘어났다. 이 휴전 기간을 에케케이리아라고 한다.
로마의 그리스 정복 이후에도 올림픽은 계속되었으나, 아우구스투스 시대 이전에는 인기가 감소했다. 술라는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올림피아를 약탈하기도 했다.[112][113] 로마 제국의 속주로 편입된 후에도 올림피아 제전은 계속되었다.
기독교가 퍼지면서, 이교 로마 신의 제전인 올림피아는 점차 쇠퇴해 갔다. 313년 로마는 기독교를 인정했고, 392년에는 국교로 삼았다. 이때 기독교 이외의 종교는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올림피아 대제도 금지되었다. 마지막 제293회 올림피아 제전은 393년에 개최되었고, 이것이 고대 올림픽의 마지막 해가 되었다.
3. 1. 초기 역사
기원전 8세기에 고대 그리스의 권력은 폴리스(도시 국가)를 중심으로 집중되었다.[50] 도시 국가는 자급자족적인 정치적 실체로 조직된 인구 중심지였다.[51] 이 도시 국가들은 종종 서로 가까이 살았고, 이는 제한된 자원을 놓고 경쟁을 야기했다. 도시 국가 간의 갈등은 빈번했지만, 무역, 군사 동맹, 문화적 교류에 참여하는 것도 그들의 이익에 부합했다.[52] 도시 국가들은 서로 양분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한편으로는 정치적, 군사적 동맹을 위해 이웃에게 의존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일한 이웃과 중요한 자원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했다.[53] 이러한 정치적 맥락에서 올림픽은 도시 국가의 대표자들이 서로 평화롭게 경쟁하는 장소 역할을 했다.[54]아리스토텔레스는 최초의 올림픽 개최 시기를 기원전 776년으로 추정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고대 역사가들이 받아들인 시기이다.[19] 오늘날까지도 이 날짜는 고대 올림픽의 시작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날짜로 통용되며, 이 특정 기원이 검증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기원전 8세기경에 시작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처음 200년 동안은 지역 종교적 중요성만 있었다. 올림피아 인근의 그리스인들만 이 초기 게임에 참가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올림픽 게임은 점점 더 많은 인정을 받았고, 범헬레니즘 경기의 일부가 되었다. 다른 범헬레니즘 경기는 피티아 경기, 네메아 경기, 이스토미아 경기였지만, 올림픽 경기는 나머지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기 때문에 가장 권위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올림픽 경기는 고대 그리스의 두 가지 중심 의례 중 하나였으며, 다른 하나는 훨씬 더 오래된 종교 축제인 엘레우시스 비의였다.[29]
올림픽 게임 참여는 자유로운 그리스 남성에게만 허용되었지만, 전차 소유주로서 승리한 그리스 여성도 있었다. 당국은 여성이 경기에 참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어떤 사람들은 모든 여성이 게임이 열리는 신성한 구역에서 제외되었다고 말하는 반면,[30] 다른 사람들은 파우사니아스를 인용하여 ''파르테노이''(처녀)는 경기를 볼 수 있었지만 ''기나이케스''(기혼 여성)는 알페이오스 강 남쪽에 머물러야 했다고 언급했다.[31]
3. 2. 중기 역사
마케도니아 왕국은 국정이 도시 국가가 아니었고 변경에 살았기 때문에 그리스인이었음에도 고대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1세는 자신의 선조가 헤라클레스라고 주장했고, 그 결과 그리스인으로 인정받아 기원전 6~5세기 무렵부터 고대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110] 이후 필리포스 2세가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승리했을 때 필리페이온이라는 이오니아식 토로스가 헌납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라는 이름은 필리포스 2세가 고대 올림픽에서 우승한 해에 태어났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여 마케도니아 왕으로 처음 고대 올림픽에 참가한 알렉산드로스 1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10]로마인들도 신화를 통해 자신들의 조상이 그리스인임을 증명하고, 기원전 6세기 무렵부터 이미 그리스 도시 국가에 섞여 참가를 허락받았다.[111] 이처럼 신화로 민족의 계보를 거슬러 올라가 그리스인에 도달한다면, 바르바로이라도 참가는 가능했다.
올림피아 대제전은 개최 1개월 전에 개최를 알리는 사자가 그리스 전체를 돌았으며, 대회 개최 중 1개월 동안은 휴전이 선포되었다. 이후 참가 도시 국가가 증가하면서 휴전 기간은 올림픽 개최 기간을 포함하여 전후 3개월로 늘어났다. 이 휴전 기간을 에케케이리아라고 한다.
3. 3. 로마 제국 시기
로마의 그리스 정복 이후에도 올림픽은 계속되었으나, 아우구스투스 시대 이전에는 인기가 감소했다. 술라는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올림피아를 약탈하기도 했다.[112][113]로마 제국의 속주로 편입된 후에도 올림피아 제전은 계속되었다. 폭군으로 알려진 로마 황제 네로는 자신이 출전하여 승자가 되기 위해 제211회 올림피아 경기 회의 일정을 원래 열어야 할 65년에서 67년으로 변경했다. 또한, 경기에 패하더라도 우승으로 인정되도록 하였다. 네로의 권력 남용과 부정에 대한 비판이 강했고, 이 제전은 후에 공식적인 대제로 인정되지 않았으며 네로 사후 공식 기록에서 말소되었다. 그러나 변경된 제전 시기는 되돌려지지 않고 그대로여서, 마지막 제293회 대제까지 이는 변하지 않았다. 네로는 7개 종목에서 우승했다고 하지만, 경기 내용은 비참했고, 특히 음악 경기는 듣기에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열악했다고 한다. 네로 사후, 이 대회는 엘리스의 공식 기록에서 말살되었고, 이 때문에 이 대회를 올림피아 대회로 인정하지 않는 연구자도 있다.
기독교가 퍼지면서, 이교 로마 신의 제전인 올림피아는 점차 쇠퇴해 갔다. 313년, 로마는 기독교를 인정했고, 392년에는 국교로 삼았다. 이때 기독교 이외의 종교는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올림피아 대제도 금지되었다. 마지막 제293회 올림피아 제전은 이듬해 393년에 개최되었고, 이것이 고대 올림픽의 마지막 해가 되었다. 이후, 로마의 이교 신전 파괴령에 의해 올림피아는 신역을 파괴당하며 긴 역사의 막을 내렸다.
3. 4. 쇠퇴
로마 제국이 그리스를 정복한 후에도 올림픽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3세기에는 올림픽 경기의 인기가 감소했다.[38]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가 392년에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정식 선포하면서, 이교도의 신인 제우스를 기리는 경기는 금지되었다.[4] 마지막 고대 올림픽은 393년에 개최되었으며,[4] 이후 로마의 이교 신전 파괴령에 의해 올림피아는 파괴되었다.4. 경기 종목
고대 올림픽의 경기 종목은 초기에는 스타디온 달리기만 있었으나, 점차 다양한 종목이 추가되었다.
고대 올림픽 경기는 대부분 나체로 치러졌으며, 이는 그리스인들이 비그리스인과 구별되는 특징이라고 생각했다. 파우사니아스는 기원전 720년에 스타디온 경주에서 우승한 오르시푸스를 최초의 나체 선수로 꼽았는데, 그는 옷을 벗지 않고 달리는 것이 더 쉬웠기 때문에 일부러 옷을 잃었다고 한다.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체조 운동에서 공공연히 옷을 벗고 기름을 바르는" 관습을 스파르타인이 도입했다고 말하며, "예전에는 올림픽 경기에서도 경쟁하는 선수들이 허리에 띠를 둘렀고, 그 관행이 중단된 지는 불과 몇 년밖에 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선수들은 처음에 페리조마라는 천을 입었으며, 기원전 6세기 말의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경기 중에 이 의복을 착용했다.
다음은 올림픽의 경기 종목과 도입 시기를 정리한 표이다.
올림피아드 | 연도 | 처음 도입된 경기 |
---|---|---|
1회 | 기원전 776년 | |
14회 | 기원전 724년 | |
15회 | 기원전 720년 | 장거리 경주 () |
18회 | 기원전 708년 | 5종 경기, 레슬링 |
23회 | 기원전 688년 | 복싱 () |
25회 | 기원전 680년 | 네 마리 말이 끄는 전차 경주 () |
33회 | 기원전 648년 | 경마 (), 판크라티온 |
37회 | 기원전 632년 | 소년 과 레슬링 |
38회 | 기원전 628년 | 소년 5종 경기 (같은 해 중단) |
41회 | 기원전 616년 | 소년 복싱 |
65회 | 기원전 520년 | 중장 보병 경주 () |
70회 | 기원전 500년 | 노새 마차 경주 () |
71회 | 기원전 496년 | 암말 경주 () |
84회 | 기원전 444년 | 노새 마차 경주 ()와 암말 경주 (), 둘 다 중단됨 |
93회 | 기원전 408년 | 두 마리 말이 끄는 전차 경주 () |
96회 | 기원전 396년 | 전령과 나팔수를 위한 시합 |
99회 | 기원전 384년 | 1년 이상 된 말을 위한 테트리폰 |
128회 | 기원전 268년 | 1년 이상 된 말을 위한 전차 경주 |
131회 | 기원전 256년 | 1년 이상 된 말을 위한 경주 |
145회 | 기원전 200년 | 소년을 위한 |
대부분의 경기에 남성 선수만 참가할 수 있었지만, 여성은 승마 경기에 말을 출전시켜 참가할 수 있었다.
4. 1. 육상
최초 13번의 올림픽 경기에서 기록된 유일한 종목은 약 192m의 직선 달리기 경기인 이었다.[68] (직역: "두 배 길이의 파이프")라고 불리는 두 스타디온 경주는 기원전 724년 제14회 올림피아드에서 도입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선수들은 스타디온 길이만큼 석회나 석고로 표시된 레인에서 달린 후 ()로 알려진 별도의 기둥을 돌아 출발선으로 돌아온 것으로 여겨진다.[69] 크세노파네스는 "발의 속도로 얻는 승리가 무엇보다 존중받는다"고 썼다.세 번째 육상 경기인 ("장거리 경주")는 다음 올림피아드에서 도입되었다. 경주 거리에 대한 기록은 다르다; 트랙을 20바퀴에서 24바퀴 도는 코스로, 약 7.5km에서 9km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바퀴가 아닌 길이를 기준으로 했을 수도 있으며, 그렇다면 절반 거리였을 것이다.[70][71]
올림픽 프로그램에 추가된 마지막 육상 경기는 기원전 520년에 도입된 (호플리토드로모스) 또는 "호플리테 경주"였으며, 전통적으로 대회의 마지막 경기로 치러졌다. 선수들은 완전한 군장 상태로 단일 또는 2배의 (약 400m 또는 800m)를 달렸다.[72] 는 완전 무장한 병사들이 적을 기습하기 위해 달리는 전술에서 유래했다.
본경기에서 스타디온은 경기장의 가장 북쪽부터 가장 남쪽으로 달리는 육상경기의 일종이다. 스타디움은 이 경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다른 경기는 디아울로스(Diaulos) 왕복경기와 돌리코스(Dolichos) 24스타디온[114] 뛰기가 있다. 또 이 세 경기에서 모두 금메달을 석권한 사람은 트리아스테스(Triastes)라고 부르는데 레오니다스라는 선수는 4회 연속 트리아스테스 자리를 지켰다고 한다.
4. 2. 격투


레슬링()은 제18회 올림피아드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승리하려면 세 번 넘어뜨려야 했다. 몸, 엉덩이, 등 또는 어깨(어쩌면 무릎)가 땅에 닿으면 넘어뜨린 것으로 간주되었다. 두 선수 모두 넘어지면 무승부였다. 현대의 그레코로만 레슬링과 달리, 발걸기가 허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73]
복싱()은 기원전 688년에 처음 도입되었고,[74] 소년 경기는 60년 후에 열렸다. 스미르나의 오노마스투스가 복싱 규칙을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73] 몸통 공격은 허용되지 않았거나, 거의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73][75] 복싱을 발명했다고 주장하는 스파르타인들은 곧 복싱을 포기하고 경기에 참가하지 않았다.[73] 처음에는 복서들이 (단수 ), 즉 손에 감는 긴 가죽 끈을 착용했다.[74]
은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였다.[76] 팡크라티온은 제33회 올림피아드(기원전 648년)에 도입되었다.[77] 소년 은 기원전 200년, 제145회 올림피아드에서 올림픽 종목이 되었다.[78] 선수들은 복싱과 레슬링 기술 외에도 킥,[79] 꺾기, 조르기 기술을 사용했다. 물어뜯기, 눈 찌르기 외에는 금지 사항이 없었지만, 은 복싱보다 덜 위험한 것으로 여겨졌다.[80]
은 가장 인기 있는 종목 중 하나였다. 핀다르는 우승자를 기리는 8개의 송시를 썼다.[73] 피갈리아의 아리키온은 상대방이 항복을 하는 순간 사망하여 사후 승리자로 기록되기도 했다.[73]
4. 3. 5종 경기
5종 경기는 펜타슬런(Pentathlon)이라고 칭하였는데, 이는 그리스어에서 '다섯'을 의미하는 펜테(Pente)에서 따온 것이다. 5종 경기에는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달리기, 레슬링, 멀리뛰기가 포함된다.[73] 5종 경기는 기원전 708년 제18회 올림픽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5] 이 경기는 하루 동안 진행되었지만,[86] 승자를 어떻게 결정했는지,[87][88] 또는 어떤 순서로 경기가 진행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73] 다만 레슬링으로 경기가 마무리되었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다.[89]4. 4. 전차 경주
전차 경주는 전차가 가장 빨리 달리는지를 겨루는 경기였다. 전차의 기수가 아닌 전차의 소유주가 참가자였기 때문에 한 소유주가 여러 순위를 차지할 수도 있었다.[90]경마와 전차 경주는 말을 유지하고 운송할 여유가 있는 부유층만이 참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올림픽에서 가장 권위 있는 경기였다. 이 경주에는 네 마리 말이 끄는 전차 경주, 두 마리 말이 끄는 전차 경주, 그리고 기수가 말을 타는 경주 등 다양한 종목이 있었다. 기수는 말 소유주가 직접 선택했다. 네 마리 말이 끄는 전차 경주는 기원전 680년에 처음 도입된 올림픽의 첫 번째 마술 종목이었다. 이 경주에는 중간에 멍에로 연결된 두 마리의 말과 밧줄로 연결된 바깥쪽 두 마리의 말이 사용되었다.[90] 두 마리 말이 끄는 전차 경주는 기원전 408년에 도입되었다.[91] 반면에 기수가 말을 타는 경기는 기원전 648년에 도입되었다. 이 경주에서 그리스인들은 안장을 사용하지 않았고 등자(후자는 서기 6세기경까지 유럽에 알려지지 않았다)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좋은 균형 감각이 필요했다.[92]
파우사니아스는 두 마리의 노새가 끄는 마차 경주와 속보 경주가 각각 70회 축제와 71회 축제에 제정되었지만, 84회 축제에서 포고령에 의해 모두 폐지되었다고 보고한다. 속보 경주는 암말을 위한 경주였으며, 코스의 마지막 부분에서 기수는 뛰어내려 암말 옆에서 달렸다.[93]
전차 경주에서는 올림픽 경기에서 우승한 최초의 여성이 나왔는데, 우승자는 전차를 조종하는 사람(남성만 가능)이 아닌 팀에 자금을 지원한 부유한 후원자 또는 훈련사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말 훈련사이자 스파르타 공주인 키니스카가 올림픽에서 최초의 여성 우승자가 되도록 했다.[94]
우승자가 후원자였기 때문에 특히 부유한 사람은 여러 팀을 경주에 출전시켜 승률을 높일 수도 있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이 기록은 알키비아데스가 가지고 있으며, 그는 한 번의 경기에 일곱 대의 전차를 출전시켜 1위, 2위, 3위 또는 4위를 차지했다.[95]
67년, 로마 황제 네로는 올림피아에서 전차 경주에 참가했다. 그는 전차에서 떨어져 경주를 완주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경주를 완주했더라면 이겼을 것이라는 이유로 우승자로 선언되었다.[96]
5. 벌칙
경기에 반칙을 범했을 경우 다음과 같은 벌칙이 행해졌다.
6. 문화
고대 올림픽은 단순한 운동 경기를 넘어 종교적인 축제이기도 했다. 경기는 그리스 신 제우스를 기리기 위해 열렸으며, 경기 중간에는 100마리의 황소를 제물로 바치는 제사가 행해졌다.[8] 시간이 흐르면서 올림픽 경기가 열린 올림피아는 그리스 판테온의 주신을 숭배하는 중심지가 되었고, 그리스 건축가 리본이 지은 도리아식 신전이 세워지기도 했다.[8] 조각가 페이디아스는 금과 상아로 제우스 조각상을 만들었는데, 그 높이는 약 12.80m에 달했고,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8]
예술적 표현 역시 경기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조각가, 시인, 화가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올림픽에 참가하여 자신의 작품을 선보였다. 시인들은 올림픽 우승자를 칭송하는 시를 짓기도 했는데, 이러한 승리 노래는 대대로 전해지며 큰 영예로 여겨졌다.[46]
7. 정치
고대 그리스의 권력은 기원전 8세기에 폴리스 (도시 국가)를 중심으로 집중되었다.[50] 도시 국가는 자급자족적인 정치적 실체로 조직된 인구 중심지였다.[51] 각 도시 국가는 동일한 신들의 판테온을 숭배했지만, 각 도시는 종종 제한된 신 그룹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다양한 달력을 기반으로 종교 축제를 기념했다. 이 도시 국가들은 종종 서로 가까이 살았고, 이는 제한된 자원을 놓고 경쟁을 야기했다. 도시 국가 간의 갈등은 어디에나 있었지만, 무역, 군사 동맹, 문화적 교류에 참여하는 것도 그들의 이익에 부합했다.[52] 도시 국가들은 서로 양분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한편으로는 정치적, 군사적 동맹을 위해 이웃에게 의존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일한 이웃과 중요한 자원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했다.[53] 이러한 정치적 맥락에서 올림픽은 도시 국가의 대표자들이 서로 평화롭게 경쟁하는 장소 역할을 했다.[54]
올림픽 경기 기간 동안에는 휴전, 즉 ''에게케이리아''가 지켜졌다. 세 명의 주자, 즉 ''스폰도포로이''는 각 경기가 열릴 때마다 엘리스에서 참가 도시로 파견되어 휴전의 시작을 알렸다.[56] 이 기간 동안 군대는 올림피아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었다. 법적 분쟁과 사형 집행도 금지되었다. 주로 선수와 방문객이 안전하게 경기에 참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휴전은 대체로 잘 지켜졌다.[56] 투키디데스는 스파르타인들이 경기에 참석하는 것이 금지된 상황을 기록했는데, 휴전 기간 동안 레프레움 시를 공격한 휴전 위반자들은 2,000 미나의 벌금을 물게 되었다. 스파르타인들은 벌금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휴전이 아직 효력을 발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59][57]
이 경기는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주로 대립했지만, 실제로는 거의 모든 헬레니즘 도시 국가에 영향을 미친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58] 올림픽은 이 기간 동안 동맹을 발표하고 승리를 위해 신들에게 희생을 바치는 데 사용되었다.[8][59]
모든 참가 도시 국가가 군사적 휴전을 지켰지만, 정치 무대에서는 분쟁으로부터의 그러한 휴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올림픽 경기는 고대 그리스에서, 어쩌면 고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운동 및 문화적 무대로 발전했다.[60] 이처럼 경기는 도시 국가가 스스로를 홍보하는 수단이 되었다. 그 결과 정치적 음모와 논란이 발생했다. 예를 들어, 그리스 역사가인 파우사니아스는 선수 소타데스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8. 다른 지역의 올림픽 축제
"올림픽 경기"라는 이름으로 불린 운동 경기는 고대 올림피아 축제를 모방하여 그리스 세계 곳곳에 점차적으로 세워졌다. 이 중 일부는 비문과 주화로만 알려져 있지만, 안티오크의 올림픽 축제와 같이 다른 축제들은 널리 명성을 얻었다. 이러한 올림픽 축제들이 여러 곳에 세워진 후, 주요 올림픽 축제는 때때로 비문에 피사라는 구절을 추가하여 지정되기도 했다.
참조
[1]
LSJ
Ὀλύμπια
[2]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olympic.[...]
2016-08-11
[3]
서적
The Naked Olympics
2004
[4]
논문
Theodosius I. And The Olympic Games
2004
[5]
서적
The End of Greek Athletics in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
서적
Ancient Greek civilization
Wiley-Blackwell
2003
[7]
간행물
Greece & Rome
2011
[8]
웹사이트
The Ancient Olympics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010-02-12
[9]
문서
Kyle
1999
[10]
문서
Kyle
1999
[11]
문서
Kyle
1999
[12]
문서
Kyle
1999
[13]
문서
Spivey
2005
[14]
문서
Pausanias
[15]
문서
Spivey
2005
[16]
서적
Archaeology Of The Olympics: The Olympics & Other Festivals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12-08-12
[17]
문서
Beale
[1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Box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1-24
[19]
문서
Nelson
2006
[2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ports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1]
문서
Plutarch
[22]
문서
Dionysius
[23]
서적
Caesar's Calendar: Ancient Time and the Beginnings of Histor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24]
문서
The Athletics of the Ancient Olympics: A Summary and Research Tool
[25]
문서
Alfred Mallwitz
[26]
문서
Perrott
[27]
서적
Oxford Handbook of Sports History.
Oxford Univ Press US
2020
[28]
문서
Spivey
2005
[29]
웹사이트
The Ancient Olympic Games
http://www.hickokspo[...]
HickokSports
2007-05-13
[30]
문서
Finley & Pleket
[31]
문서
Perrottet
[32]
문서
Dillon
2000
[33]
문서
Young
[34]
서적
Greek Athletics in the Roman World: Victory and Virtu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5]
문서
Drees
[36]
문서
Young
[37]
문서
Young
[38]
서적
History of Armenia
[39]
문서
Young
[40]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4-01
[41]
서적
The Naked Olympics: The True Story of the Ancient Game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Digital, Inc.
2013-04-01
[42]
웹사이트
Olympia Hypothesis: Tsunamis Buried the Cult Site On the Peloponnese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11-07-12
[43]
웹사이트
"Altis | ancient site, Greece"
https://www.britanni[...]
[44]
웹사이트
Perseus
https://www.perseus.[...]
[45]
문서
Young
[46]
웹사이트
p. 77
https://books.google[...]
[47]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6.13.8
https://anastrophe.u[...]
[48]
문서
Stanton
2000
[49]
문서
Stanton
2000
[50]
문서
Hansen
2006
[51]
문서
Hansen
2006
[52]
문서
Hansen
2006
[53]
문서
Hansen
2006
[54]
문서
Raschke
1988
[55]
문서
Spivey
2005
[56]
문서
Swaddling
1999
[57]
문서
Strassler & Hanson
1996
[58]
웹사이트
Peloponnesian War
https://www.livius.o[...]
Livius, Articles on Ancient History
[59]
서적
The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s://archive.org/[...]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60]
문서
Kyle
2007
[61]
문서
[62]
문서
Young
[63]
웹사이트
Preparing and organizing the games
http://www.fhw.gr/ol[...]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64]
서적
Combat Sports in the Ancient World: Competition, Violence, and Culture
Yale University Press
1987-01-01
[65]
문서
[66]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www.theoi.com[...]
[6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classics.mit.[...]
431 BC
[68]
서적
Ancient Greek Athletic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5
[69]
서적
Ancient Greek Athletic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5
[70]
문서
Golden
[71]
웹사이트
Miller, p. 32
https://archive.org/[...]
2017-11-15
[72]
서적
Ancient Greek Athletic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5
[73]
웹사이트
Greek athletic sports and festivals
https://archive.org/[...]
London : Macmillan
2017-11-15
[74]
서적
Ancient Greek Athletic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5
[75]
웹사이트
Gardiner, p. 432
https://archive.org/[...]
2009-08-17
[76]
서적
Sport Matters: Sociological Studies of Sport, Violence,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9
[77]
웹사이트
Greek athletic sports and festival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7-11-15
[78]
서적
Ancient Greek Athletic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5
[79]
웹사이트
Gardiner, p. 445–46
https://archive.org/[...]
2009-08-17
[80]
서적
The Olympic Games: The First Thousand Year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7-11-15
[81]
문서
Miller, p. 60
[82]
문서
Miller, p. 63
[83]
웹사이트
Gardiner, p. 295
https://archive.org/[...]
[84]
웹사이트
"The Halma: A Running or Standing Jump?"
https://books.google[...]
in ''Onward to the Olympics: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Olympic Games''
2022-12-26
[85]
서적
Ancient Greek Athletic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15
[86]
문서
Young, p. 32
[87]
문서
Young, p. 19
[88]
웹사이트
Greek athletic sports and festival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7-11-15
[89]
웹사이트
Greek athletic sports and festival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7-11-15
[90]
웹사이트
Ancient Olympics
http://ancientolympi[...]
2017-04-04
[91]
웹사이트
Ancient Olympics
http://ancientolympi[...]
2017-04-04
[92]
웹사이트
Ancient Olympics
http://ancientolympi[...]
2017-04-04
[93]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020-11-25
[94]
문서
Spartan Women
Wiley Blackwell
2018
[95]
문서
The Life of Alcibiades
http://penelope.uchi[...]
[96]
웹사이트
Olympic Games We No Longer Play
http://news.national[...]
2016-08-04
[9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erodotus, parallel English/Greek: Book 5: Terpsichore: 20
http://www.sacred-te[...]
2017-11-15
[98]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4-16
[99]
문서
369 according to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by Nigel Wilson, 2006, Routledge (UK) or 385 according to ''Classical Weekly'' by Classical Association of the Atlantic States
[100]
문서
Tiberius, AD 1 (or earlier) – cf. Ehrenberg & Jones, Documents Illustrating the Reigns of Augustus and Tiberius [Oxford 1955] p. 73 (n.78)
[101]
웹사이트
William Smith,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www.ancientli[...]
1875
[102]
문서
『イリアス』第23歌「パトロクロスの葬送競技」における記述(ホメロス(松平千秋訳)『イリアス』(下)、岩波文庫、1993年、pp. 346-375)。
[103]
간행물
アテネオリンピック 2004の文化的側面 (<特集 アテネ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
https://hdl.handle.n[...]
筑波大学体育科学系
2022-09-16
[104]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https://is.muni.cz/e[...]
Blackwell Publishing
[105]
서적
Archaeology Of The Olympics: The Olympics & Other Festivals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1988-06-15
[106]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https://is.muni.cz/e[...]
Blackwell Publishing
[107]
논문
The First Olympic Games
Onward to the Olympics: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Olympic Games
[108]
문서
アンティキティラ島の機械|アンティキティラの歯車
[109]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6
講談社
[110]
간행물
古代マケドニア王国の建国神話をめぐって
古代文化 / 古代学協会(58巻・3号)
[111]
서적
西洋史Ⅱ
法政大学
[112]
웹사이트
Υπουργείο Πολιτισμού και Αθλητισμού - Αφιερώματα
http://odysseus.cult[...]
2019-07-16
[113]
웹사이트
Υπουργείο Πολιτισμού και Αθλητισμού - Αφιερώματα
https://web.archive.[...]
2019-07-16
[114]
문서
헤라클레스의 발 길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